따비 작성일 : 2015-12-30
따비는 비탈이 심하거나 돌과 나무뿌리가 많은 곳,
쟁기를 쓸 수 없는 구석진 땅이나 소가 들어서지 못하는 곳 등에서 땅을 일구는데 쓰는 농기구이다.
따비는 농경초기의 연장인 뒤지개에서 오늘날의 쟁기로 발달되는 중간과정의 연장이다.
농경문청동기(農耕文靑銅器)에소 볼 수 있듯이, 이미 청동기시대에는 널리 쓰이고 있었다.
따비는 날이 1개인 외날따비와 2개인 쌍날따비가 있다.
외날따비에는 날의 모양에 따라 주걱형·말굽쇠형·송곳형이 있고, 쌍날따비는 코끼리 이빨처럼 생긴 송곳모양의 날이 두 개가 있다.
[참고문헌]
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, 1991, 「따비」, 한국정신문화연구원.
한국민속대사전, 1991, 「따비」, 한국민속대사전편찬위원회.
박호석·안승모, 2001, 『한국의 농기구』, 어문각.